연봉 ↔ 세후 월급 계산기
최신 세율·4대보험 기준 실수령액 계산
이 계산기는 최신 세율과 4대보험 비율을 반영해 연봉과 월급의 세전·세후 실수령액을 자동 계산합니다. 국민연금(4.5%), 건강보험(3.545%), 장기요양보험(건강보험료의 12.95%), 고용보험(0.9%)을 월 기준으로 산출하며, 근로소득세는 누진공제 방식을 적용해 산출된 국세에 지방소득세(10%)를 더해 반영합니다.
비과세 수당(식대 등)을 입력하면 세후 금액에서 과세 제외 효과를 반영하고, 4대보험 적용을 끄면 보험료가 제외된 결과를 즉시 비교할 수 있습니다. 실제 급여명세서는 회사의 급여 정책, 상여·성과급, 공제 기준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본 계산 결과는 일반적인 참고용 가이드이며, 연도별 보험요율·세법 개정 시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세후 월급에서 주급·일급으로 환산할 때는 평균 근무일수(월 21.5일, 주 4.345주)를 기준으로 안내하며, 2025년 최신 세율 기준으로 계산됩니다.
👉 지금 바로 연봉과 세후 월급을 비교 계산해보세요.
계산 결과
📊 세후 기준 요약
세후 기준으로 월급·주급·일급 수령액을 함께 확인해보세요.
- 월별 수령액(세후)-
- 주급(세후)-
- 일급(세후)-
※ 주 4.345주, 월 21.5일 기준 환산
📊 연봉별 예시 계산
연봉 | 세후 월급 | 월 총공제 |
---|
※ 4대보험 적용, 비과세 수당 0원 기준
⚠️ 본 계산기는 참고용입니다. 실제 급여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⚠️ 계산은 최신 세율과 4대보험 비율을 기준으로 합니다.
⚠️ 개인별 소득공제, 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실제 세금과 다를 수 있습니다.
⚠️ 상여금, 연장근로수당 등은 별도 계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